K-민화 이성준 기자 | 8폭(1그림) 병풍(세로 183.5, 가로 70.5). 사람들의 차림은 몽고풍이고 산과 절벽을 배경으로 사냥하는 사람들의 군상(群像)이 그려짐. 첫째폭 우상단에는 필자 행원(杏園)의 낙관이 있음. 소장품 명칭 : 호렵도(胡獵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가로 : 440 / 세로 : 101 소장품 번호 : 민속015415
K-민화 이성준 기자 | 지본채묵의 10폭 민화병풍(세로 133, 가로 45.5). 잉어 등 민물고기 30, 게 4, 새우 2, 조개 8, 개구리 등이 각각 쌍 또는 가족을 이루어 노는 모습을 그려 가족화목, 자손번창을 상징함. 소장품 명칭 : 어해도 국적/시대 : 한국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133 / 가로 : 455 소장품 번호 : 민속015130
K-민화 이성준 기자 | 책ㆍ문방제구 등과 함께 화병에 꽂은 꽃나무 등을 그린 그림. 견본자수(絹本刺繡). 8폭 병풍(세로 127, 가로 320). 각 폭마다 모란과 붓 등을 기본으로 두고, 매화, 난, 연꽃, 석류, 파초, 단풍 등의 식물과 붓통, 두루마리, 가지, 수박, 불로초, 산호, 복숭아 등의 길상(吉祥) · 장수(長壽) 상징물들이 각각 조화롭게 배치됨. 붉은색과 청색 등을 기본으로 하여 다채롭고 뚜렷한 색채로 수가 놓여짐. 뒷면에는 6폭에 걸쳐 인쇄된 산수도(山水圖)가 배접되어 있음. 명칭자수 책가도 8폭 병풍(刺繡冊架圖八幅屛風) 다른명칭자수 화훼문방도 8폭 병풍(刺繡花卉文房圖八幅屛風), 민화(民畵)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주생활 - 생활용품/가전 - 장식용구 - 병풍 재질섬유 - 견 크기세로 100cm, 가로 28.5cm 소장품번호민속 29156
K-민화 이성준 기자 | 물고기나 게와 같은 물에 사는 동물을 그린 그림으로 꾸민 6폭 병풍(한 폭 크기: 세로 95, 가로 33). 견본채색(絹本彩色). 각 폭마다 바위와 수풀을 배경으로 잉어ㆍ숭어ㆍ자라ㆍ메기ㆍ새우ㆍ조개ㆍ문어 등이 그려짐. 먹으로 윤곽선을 그리고 채색함. 수풀과 바위, 물고기 등에 음영을 넣어 입체적으로 표현함. 명칭어해도 6폭 병풍(魚蟹圖六幅屛風) 다른명칭민화(民畵)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주생활 - 생활용품/가전 - 장식용구 - 병풍 재질섬유 - 견 크기세로 136.5cm, 가로 267.5cm 소장품번호민속 31215
K-민화 이성준 기자 | 효자들의 효행과 관련된 내용을 그린 10폭 병풍. 저본채색(苧本彩色). 화폭(세로 120, 가로 38). 5폭씩 2개로 분리됨. (접힌 크기 : 세로 184, 가로 49, 두께 15). 명칭효자도 10폭 병풍(孝子圖十幅屛風) 다른명칭민화(民畵)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주생활 - 생활용품/가전 - 장식용구 - 병풍 재질섬유 - 저 크기세로 184cm, 가로 490cm 소장품번호민속 39761 효자도 10폭 병풍(孝子圖十幅屛風)
K-민화 이성준 기자 | 중국 후난성[湖南省]의 소상강(瀟湘江) 주변의 경치를 인두를 달구어 그린 그림. 지본낙화(紙本烙畵). 10폭 병풍(세로 166.5, 가로 440.8). 소상강의 아름다운 여덟 경치를 그린 소상팔경에 두 가지 경치를 더하여 10폭으로 그림. 자유분방하게 표현된 능선 등의 산수(山水)가 화면 전체에 꽉차게 표현됨. 명칭소상팔경도 10폭 병풍(瀟湘八景圖十幅屛風) 다른명칭민화(民畵), 인두화, 낙화 국적/시대한국 - 대한제국 분류주생활 - 생활용품/가전 - 장식용구 - 병풍 재질섬유 - 견 크기세로 100cm, 가로 32.5cm 소장품번호민속 29626
K-민화 이성준 기자 | 소장품 명칭 : 매학도(梅鶴圖) 국적/시대 : 한국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세로 : 162 |가로 : 100 소장품 번호 : 민속105031 출처 : 국립민속박물관
K-민화 이성준 기자 | 正祖筆 菊花圖. 조선의 22대 왕 정조가 그린 국화 그림. 현재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744호이다. 86.5㎝×51.3㎝. 조선의 22대 왕 정조가 자신의 재위 기간 사이에 그린 그림이다. 보물 제743호인 정조필 파초도(正祖筆 芭蕉圖)와 함께 쌍폭에 해당된다. 우리 나라의 국왕이 직접 그려 남긴 수묵화(水墨畵)로 한국 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다. 명칭정조필 국화도 다른명칭正祖筆 菊花圖, 정조 임금이 그린 국화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일반회화 재질종이 작가정조(正祖, 1752-1800) 크기세로 84.6 cm, 가로 51.3cm 국가지정유산보물 제744호 소장품번호동국대 767 정조필 국화도 - e뮤지엄 소장품검색 (emuseum.go.kr)
-- The tour features exchanges and mutual learning among global civilizations GUIYANG, China July 24, 2024 /PRNewswire=연합뉴스/ -- A news report by Huanqiu.com On July 14,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Exploring the Origins of Chinese Neo-Confucianism" Guizhou Study Tour - the International Confucian Association 2024 Sinology Youth Scholars Study Camp concluded at the Confucius Academy in Guiyang, wrapping off an 8-day exploration journey of Chinese Neo-Confucianism. Since July 7, 22 young scholars of sinology from 15 countries across 5 continents started off from Longchang, the very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