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민화 이존영 기자 | 이 사진은 카자흐스탄 알마티(Almaty) 도심의 공원에 위치한 ‘황금 사과 분수(Apple Fountain)’를 담고 있습니다. 거대한 사과를 형상화한 이 분수는 도시의 이름인 ‘알마티(Almaty)’가 카자흐어로 ‘사과가 많은 곳’을 뜻한다는 데서 유래했습니다. 매끈한 화강암 재질로 조각된 사과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내리며, 풍요와 자연의 조화를 상징합니다. 분수 주변에는 테이블과 의자가 놓여 있어 시민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여유롭게 대화를 나누는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신록이 우거진 배경과 투명한 물의 흐름이 어우러져, 알마티의 청정하고 평화로운 도시 이미지를 잘 보여줍니다. 카자흐스탄(Kazakhstan)은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광대한 내륙국으로,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습니다. 수도는 아스타나(Astana, 구 누르술탄)**이며, 알마티는 과거 수도이자 현재도 문화·경제의 중심지입니다. 천연자원이 풍부하고, 광활한 초원과 고산지대, 사막과 호수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알마티는 천산산맥의 기슭에 자리한 녹음의 도시로, 예술과 음악, 스포츠, 교육이 발달해 있습니다. ‘사과의 도시
K-민화 이존영 기자 | 서울대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오랜 세월 무대와 강단에서 음악으로 따뜻한 울림을 전해온 김숙진 작가가 첫 음악에세이 ‘음악은 마음 깊이 흐르고(도서출판 위)’를 출간했다. 이 책은 기쁨과 슬픔, 외로움과 위로가 교차하는 삶의 순간마다 음악이 마음을 어떻게 다독이는지를 섬세하게 풀어낸 작품이다. 작가는 수많은 공연과 강연을 통해 느낀 감동의 이야기, 그리고 음악이 전해준 치유의 힘을 진솔한 언어로 담아냈다. 이번 책 ‘음악은 마음 깊이 흐르고’에는 그 무대에서 느끼고 경험한 이야기들, 그리고 음악이 제 마음을 어떻게 어루만지고 삶을 변화시켰는지를 담아냈다는 평가다. 작가는 책을 통해 음악이 단지 듣는 예술이 아닌, 마음을 회복시키는 언어임을 보여준다. 클래식뿐 아니라 영화음악, 재즈, 팝까지 다양한 장르의 곡들이 인생의 장면마다 맞춰 흐르며, 읽는 이의 감정과 공명한다. 각 장에는 QR코드가 수록되어 있어, 독자는 책 속 이야기와 함께 실제 음악을 들으며 한층 깊이 있는 감동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이번 공연을 기획하고 진행한 김숙진 대표는 오는 14일 오후 2시 30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더파타움에서 에세이집 ‘음악은
K-민화 이존영 기자 | 카자흐스탄 알마티 인근 티앙산(Tian Shan) 산맥의 협곡에 자리한 빅 알마티 호수(Big Almaty Lake, Большое Алматинское озеро)의 전경. 해발 약 2,500m 고지대에 위치한 이 빙하호는 에메랄드빛 물색으로 유명하며, 주변에는 만년설로 덮인 산봉우리들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다. 여름에는 초록빛 초원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고, 겨울에는 눈 덮인 설경으로 변해 또 다른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K-민화 이존영 기자 | 조선시대 민화 속 호랑이는 언제나 두 가지 얼굴을 지녔다. 산의 주인으로서의 위엄과, 백성 곁에서 웃음을 주는 벗의 얼굴이다. 「벽사초복辟邪招福」 호랑이 그림은 바로 그 두 얼굴의 절묘한 조화를 보여준다. 둥글고 해학적인 눈매 속에서도, 한 획 한 획마다 살아 있는 기운이 번쩍인다. 그 선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악귀를 물리치고 복을 부르는 주문의 선線이다. 바로 민화의 부적,이다. ‘벽사초복辟邪招福’의 뜻 그림 오른편에는 ‘벽사초복辟邪招福’이라는 네 글자가 선명히 새겨져 있다. 이는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인다”는 뜻으로, 조선시대 서민들의 집 문 위나 대청마루 벽에 붙여 두던 벽사진경辟邪進慶의 상징이었다. 호랑이는 악귀를 쫓는 수호신으로, 까치는 복된 소식을 전하는 길조로 여겨졌다. 따라서 이 한 폭의 그림은 ‘재앙을 물리치고 행복을 맞이하라’는 민중의 기도가 시각화된 것이다. 그 안에는 부처님의 가피와 민중의 신앙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다. 해학 속의 진지함, 까치와 호랑이의 대화 그림 속 까치는 마치 호랑이를 놀리는 듯한 표정을 짓고, 호랑이는 커다란 눈을 굴리며 어딘가 미소 짓는 듯하다. 이 익살스러움 속에는 권
민화, By K- Folk Painting Lee Jon-young | K-Folk Painting (Minwha) is not merely an old painting. It is a living art imbued with the hopes, lives, humor, and wisdom of Koreans, and today it has become a vital pillar of K-culture spreading globally. Recently, K- Folk Painting has formed a massive cultural ecosystem domestically, with a population of over 200,000 artists, enthusiasts, and students. This goes beyond simple painting, connecting to education, publishing, merchandise, and tourism industries, becoming a foundation for creating boundless added value. The response overseas is particularl
K-민화 이존영 기자 | 한미동맹 72주년, 광복 80주년을 맞아 미국 LA 코리아타운 프라자에서 펼쳐진 85인 한국예술가 초대전이 지난 7월 21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된 이 전시는 동맹의 역사와 자유의 가치를 예술로 기억하고, 문화로 화답한 뜻깊은 교류의 장이 되었습니다. 공동주최 : 사단법인 미주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공익법인 담화문화재단 공동주관 : 세계평화미술대전 조직위원회, 재단법인 세계문화진흥재단 전시장소 : 미국 LA 코리아 타운 프라자 7월 21일 ~ 27일까지 후 원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LA총영사관, 광복회 미국서남부지회, 한국일보, 중앙일보, 조선일보, 스포츠서울, 선데이저널, 코리아타운프라자, 외교저널, 시민행정신문, 유엔저널, 코리아컬처신문, K-컬처, K-민화
K-민화 이존영 기자 | 2040년, 100억 개의 로봇이 이 땅을 걷게 될 것이라 한다. 기계는 그림을 그리고, 시를 쓰며, 조리하고, 연주한다. 세상은 인간을 닮은 기계를 만들고 있고, 기계는 인간의 삶을 흉내 내는 데 점점 더 능숙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안다. 모방은 본질이 아니며, 기술은 혼이 될 수 없다는 것을. 기계가 아무리 정밀하게 베껴도, 된장 한 숟갈에 깃든 세월의 맛, 나무 결을 따라 흐른 칼끝의 온기, 비단 위 실 한 올이 전하는 고요한 숨결은 결코 완전히 따라할 수 없다. 그것은 ‘기능’이 아니라 ‘기억’이기 때문이다. 그 기억은 바로 인간의 손에 남아 있고, 그 손을 가진 자를 우리는 ‘명인名人’이라 부른다. AI는 정보를 축적하지만, 명인은 시간을 축적한다. 데이터가 연산을 반복할 때, 명인의 손은 세월과 계절을 짓고, 고요한 집중으로 역사를 이어간다. AI가 그리는 것은 이미지이고, 명인이 그리는 것은 혼이다. 기계의 시대에도, 우리는 더욱 인간다워져야 한다. 그리고 그 인간다움의 결정체는, 바로 수천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숙성된 ‘장인의 손’ 안에 있다. 대한민국 명인연합회는 기술이 아닌 정신을 계승하는 공동체이며, 속도가
K-민화 이존영 기자 | 전통과 현대를 잇는 K-민화 Folk Painting 깊은 산골, 작은 마을의 한 폭에 묵은 붓끝에서 피어난 민화의 숨결. 우리의 옛 이야기, 바람 속에 묻혀도 지금 이곳에서 다시 깨어나는 꿈. 색으로 풀어낸 민초의 마음, 화폭에 담긴 별과 달, 그리고 사라진 풍경들. K-민화 연구소, 전통의 길을 걸으며 미래로 이어지는 새 길을 열다. 과거와 현재의 손을 맞잡고 화려한 붓질로 다가올 시간을 그리네. 민화의 혼, 그 속에 깃든 우리 문화 세계를 향해 펼쳐질 그날의 빛을 꿈꾸며. K-민화, 그 뿌리 깊은 전통이 내일의 예술로 꽃피우리라. 우리의 이야기가 세계를 물들이며 다시 태어날 찬란한 그 길을 향해...
K-민화 이존영 기자 | [동영상] K-민화, 지구촌 민간 시대를 연다.
K-민화 이존영 기자 | 오는 2025년 3월 5일부터 11일까지 인사동 한국미술관 2층에서 열리는 제52차 국제문화교류전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문화적 유대와 우호 관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특별한 전시회다. 이번 전시는 양국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며, 주한 우즈베키스탄 알리셔 압두살로모프 대사와 외교저널 이존영 회장의 협의를 통해 마련됐다. 이 사진은 행사전 K-민화를 통해 행사전 최초로 공개하는 자료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