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민화 이성준 기자 | 지난 11일, 경북 포항교도소에서 특별한 예술 나눔 행사가 열렸다. 한국을 대표하는 K-민화 작가 32인이 전통 민화 작품 34점을 기증하며 재소자들의 정서적 안정과 교화를 위한 따뜻한 뜻을 전했다. 이번 기증 행사는 세계평화미술대전 이존영 이사장과 김동현 대구교정청장의 주도로 추진되었으며, 명지대학교 이미형 교수, 최병환 작가, 강석원 작가 등 민화계 주요 인사들도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김동현 대구교정청장은 인사말에서 “예술은 사람의 마음을 치유하는 힘이 있으며, 이번 민화 작품 기증이 재소자들의 정서 함양과 건전한 사회 복귀에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라고 밝혔다. 기증된 민화 작품들은 포항교도소 내 전시 공간에 비치되어, 교정 공무원들과 재소자 모두가 한국 전통의 미를 느끼고 위안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민화는 오랜 세월 동안 복과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온 민중의 예술로, 정서적 치유 효과가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규성 포항교도소장은 “귀한 작품을 기증해 주신 작가 한 분 한 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수준 높은 전통 예술의 향유는 교정시설 안에서도 구성원들의 마음을 풍요롭게 할 것입니다”라고 소감을
K-민화 이성준 기자 | 오는 4월 11일, 경상북도 포항교도소에서 뜻깊은 예술 나눔 행사가 열렸다. 한국을 대표하는 K-민화 작가 32인이 민화 작품 34점을 교도소에 기증하며, 재소자들의 정서적 안정과 교화를 위한 따뜻한 메시지를 전했다. 이번 기증은 법무부 대구교정청 김동현 청장과 세계평화미술대전 이존영 이사장의 주도로 성사됐다. 작품은 향후 포항교도소 내에 전시되어, 수형자들이 일상 속에서 한국 전통 민화의 아름다움과 치유의 힘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민화는 예로부터 길상吉祥, 치유, 소망 등의 의미를 담아온 전통 회화로, 그 상징성과 색채, 이야기 속에는 삶의 긍정적 메시지가 깃들어 있다. 이로 인해 교정시설 내에서도 심리적 안정과 자아 성찰을 유도하는 ‘예술 치유’의 효과가 기대된다. 이번 포항교도소 기증은 지난해 대구교도소 민화 기증에 이어 두 번째다. 이존영 이사장은 코로나19 확산 시기, 전국 교정시설에 마스크 25만 장을 기부한 바 있으며, 이번 기증 역시 그의 지속적인 교정 문화 지원 활동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는 “예술은 마음을 치유하고 세상과 소통하는 언어입니다. 이번 작품 기증이 재소자들에게 따뜻한 희망의 메시지가 되길 바
K-민화 이성준 기자 | 만운 이한기晩雲 李漢基,죽간체작품(1921-1995)는 한국 전통 민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대표적인 화가입니다. 그의 작품은 민화의 전통적인 소재와 구성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하여 대중과 소통하려는 시도를 보여줍니다. 민화가 가진 색채의 화려함, 상징성, 그리고 독창적 도상을 활용하면서도, 시대와 사회적 변화에 따른 새로운 해석과 표현을 통해 전통 회화와 현대 미술의 가교 역할을 했습니다. 이한기의 작품은 민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호랑이, 연꽃, 학, 국화, 수박 등 다양한 전통 소재를 채택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적인 정서와 미학을 현대 회화의 방식으로 풀어냈습니다. 특히 그가 사용하는 선과 색감은 대담하면서도 섬세하여, 민화 특유의 화려함과 생동감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인의 미적 감각에 맞춘 작품들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만운 이한기는 생전 수많은 전시와 작품 활동을 통해 민화의 예술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데 기여했으며, 한국 미술계에서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화가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죽간체竹簡體는 죽간(竹簡, 대나무 간)을 모방한 서체로, 고대 중국에서 대나무에 글씨를 새기던 방식을 떠올리게 하는 서체입니다. 이 서체는 선이
K-민화 이성준 기자 | 거북, 연꽃 등이 어우러진 그림. 액자형(세로 108, 가로 53). 소장품 명칭 : 해구도(海龜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75 / 가로 : 34 소장품 번호 : 민속018500
K-민화 이성준 기자 | 파초와 괴석이 어우러진 그림. 문인화. [之又齋印]이라는 인장이 있으나 鄭遂榮의 작품으로 보기는 어려우나 傳之又齋作으로 볼 수 있음. 액자형(세로 119, 가로 89.5) 소장품 명칭 : 파초괴석도(芭蕉怪石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일반회화 크기 : 세로 : 95.5 / 가로 : 52.5 소장품 번호 : 민속018499
K-민화 이성준 기자 | 소나무와 사슴이 어우러진 그림. 액자형(세로 111, 가로 59). 소장품 명칭 : 송록도(松鹿圖) 국적/시대 : 한국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93.4 / 가로 : 39.5 소장품 번호 : 민속018498
K-민화 이성준 기자 | 봉황과 매화가 어우러진 그림. 액자형(세로 123 , 가로 58). 소장품 명칭 : 봉황도(鳳凰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90 / 가로 : 38 소장품 번호 : 민속018497
K-민화 이성준 기자 | 거북, 물고기, 연꽃 등이 어우러진 그림. '龜蓮相應 錦鱗弄波'라는 화제가 있음. 액자형(세로 125, 가로 59). 소장품 명칭 : 구련도(龜蓮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가로 : 39.5 / 세로 : 93.4 소장품 번호 : 민속018496
K-민화 이성준 기자 | 烙畵. 老松과 학 두 마리가 어우러진 그림. 月山 朴株淡의 그림으로 7언 대구의 畵題가 있음. 화제 옆에는 두인, 이름 아래에는 아호인과 성명인이 찍혀 있음. 액자형(세로 129, 가로 48.5). 소장품 명칭 : 송학도(松鶴圖)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가로 : 28.5 / 세로 : 94.5 소장품 번호 : 민속018493
K-민화 이성준 기자 | 지본채색(紙本彩色). 양지 바탕에 소나무, 모란, 매화, 포도, 버들, 석류, 학, 봉황, 꾀꼬리, 청둥오리 등이 어우러진 그림. 화폭(세로 80.5, 가로 39.3). 소장품 명칭 : 화조도 10폭 병풍(花鳥圖十幅屛風) 국적/시대 : 한국 용도/기능 : 문화예술-서화-회화-민화 크기 : 세로 : 157.5 / 가로 : 393 소장품 번호 : 민속017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