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민화 이성준 기자 | 대한민국 대표 외교 전문지 외교저널(Diplomacy Journal)은 창간 28주년을 맞이하여, 단순한 외교 보도를 넘어 문화외교와 국가 브랜드 강화를 선도하는 언론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발행인 겸 회장 이존영은 “언론은 단순한 소식 전달의 수단이 아니라, 국가의 가치와 문화를 세계와 공유하는 가교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외교저널이 지향하는 비전을 명확히 제시했다. K-브랜드 자매지와 글로벌 확산 외교저널은 그 사명을 확장하기 위해 자매지 「K-컬처」, 「K-민화(Folk Painting)」, 「코리아컬처」를 발간하고 있다. 「K-컬처」는 한류의 다양한 면모를 국제사회에 소개하며, K-팝과 드라마뿐 아니라 전통예술, 의식주, 현대적 라이프스타일까지 아우른다. 「K-민화(Folk Painting)」는 민화를 한국 고유의 미술사적 자산이자 문화외교의 도구로 조명하며, 민화 세계화를 위한 전문 매체로 자리 잡았다. 「코리아컬처」는 K-브랜드를 세계 시장에 알리는 확장판으로, 한국 문화 정체성과 산업적 경쟁력을 함께 전달한다. 이들 자매지는 각기 다른 정체성을 지니고 있으나, 모두가 K-브랜드 외교 저널리즘의 축을 이루며,
K-민화 이성준 기자 | 추석은 단순한 명절이 아니다. 온 가족이 모여 조상을 기리고, 풍요와 나눔을 되새기는 우리 민족의 정신적 중심축이다. 국가의 외교 또한 마찬가지다. 오늘과 내일, 그리고 미래 세대를 이어주는 다리이자, 한국이 세계 속에서 자리를 지켜내는 중요한 과정이다. 올해로 28년 지령을 맞은 Diplomacy Journal은 대한민국 유일의 국·영문, 그리고 9개국어로 발간되는 글로벌 외교 전문 언론사다. 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한국 외교 저널리즘이 걸어온 궤적이자, 세계와의 대화 속에서 대한민국의 목소리를 담아온 역사다. 그동안 Diplomacy Journal은 국제 정세와 외교 현안을 심층적으로 보도해왔을 뿐 아니라, 외교아트센터, 외국인 이주노동자 인권센터 등 다양한 사회 활동을 통해 외교·문화·인권을 연결하는 실천의 장을 열어왔다. 이는 언론을 넘어선 사회적 책임이며, 추석이 상징하는 “나눔과 화합”의 정신과도 맞닿아 있다. 특히 최근에는 문화예술 기획팀과 지방자치단체 협업팀을 추가로 꾸려, 각종 국제 행사와 지역 축제를 기획·운영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나아가 K-컬처 확산을 위해 K-민화·한복 모델 선발대회와 같은 새로
K-민화 김학영 기자 | 김정훈 작가의 「도쌍학도」는 전통 민화의 길상적 요소들을 현대적 감각으로 풀어낸 대표작입니다. 화면 속에는 붉게 떠오른 해와 흐르는 구름, 끝없이 일렁이는 파도 위에 서 있는 두 마리 학, 그리고 복숭아 열매가 주렁주렁 달린 소나무가 어우러져 있습니다. 복숭아桃-불로장생의 상징 작품 제목의 ‘도桃’는 복숭아를 뜻합니다. 오래전부터 복숭아는 신선들이 즐겨 먹는 장생의 과일로, 인간에게 건강과 장수를 가져다준다고 믿어졌습니다. 가지에 가득 맺힌 복숭아는 풍요와 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지닙니다. 쌍학雙鶴-고결함과 화합 작품 중앙의 두 마리 학은 장수와 청정, 그리고 부부의 화합을 상징합니다. 파도 위에 당당히 서 있는 학의 모습은 고난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기품을 보여주며, 삶의 길 위에서 서로를 의지하며 나아가는 조화를 의미합니다. 붉은 해와 구름-희망과 우주의 질서 우측 상단의 붉은 해는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상징합니다. 이를 감싸는 유려한 구름 문양은 전통 민화의 장식적 요소를 계승하면서도, 천지인의 조화를 표현하여 작품의 신비로운 기운을 더합니다. 소나무와 파도-강인한 생명력 왼편의 휘어진 소나무는 사시사철 푸르름을 잃지 않는 장수
K-민화 이성준 기자 | 정정순 작가의 이번 작품은 전통 민화의 화려한 색채와 현대적 감각이 조화를 이룬 모란도牡丹圖이다. 화면 가득 피어난 모란꽃은 붉고, 분홍, 흰빛이 어우러지며 각각의 꽃잎이 정교하게 겹겹이 쌓여 생명의 충만함과 번영을 상징한다. 모란은 예로부터 ‘부귀富貴’와 ‘영화榮華’의 상징으로 여겨져 왕실과 사대부가 즐겨 그린 길상화吉祥畵였으며, 작품 속의 만개한 모란은 풍요로운 삶과 행복한 미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꽃 사이를 자유롭게 나는 나비들은 생동감을 더하며, 인간과 자연, 삶과 예술이 하나로 이어지는 조화를 표현한다. 나비는 기쁨과 사랑, 자유로움을 상징하는 동시에, 모란과 더불어 ‘부귀쌍전富貴雙全’이라는 전통적 의미를 완성시킨다. 정정순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단순히 옛 그림의 재현을 넘어서, 오늘날의 K-민화가 지닌 미적 가치와 세계적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전통 민화의 힘찬 생명력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져, 한국의 정서와 미학을 세계인과 나누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K-민화 이성준 기자 | 글 / 담화총사 | 전통 옻칠기법과 민화의 조형미가 만나 한국적 미의식의 정수를 드러낸 대작 『행렬도行列圖』가 공개됐다. 이 작품은 채화칠기 무형문화재 제1호이자 대한민국명인연합회 인증 명인인 청목靑木 김환경 작가가 약 1년간 혼신을 다해 완성한 궁중 행렬 재현 옻칠화로, 예술성과 문화재적 가치를 동시에 갖춘 전례 없는 걸작으로 평가된다. 민화와 옻칠이 만난 최초의 대형 ‘궁중 행렬도’ 『행렬도』는 조선시대 궁중 의례와 왕실 행차의 장엄한 장면을 바탕으로, 수십 명의 인물 군상과 말, 기수, 악공, 궁녀, 백관들이 등장하는 전통 민화 양식을 정교하게 재현한 작품이다. 특히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회화 전체를 옻칠 기법으로 제작했다는 점이다. 이는 민화 회화 사상 보기 드문 시도로, 전통 채화와 칠기 공예를 접목시킨 융복합 예술로 손꼽힌다. 옻칠은 표면의 광택과 깊이감을 더할 뿐 아니라, 천년을 유지하는 보존성과 방부성을 갖고 있어, 이 작품은 단순한 예술작품을 넘어 후대에 남길 ‘정신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매우 높다. 옻칠은 단순한 재료가 아닌 생명성과 지속성, 전통성과 신성성을 함께 품은 한국 고유의 공예 정신이다. 표면에 윤기
K-민화 김학영 기자 | 대한민국 유일의 외교 전문 정론지 『외교저널(Diplomacy Journal)』이 창간 28주년을 맞았다. 1997년, “외교의 현장을 기록하겠다”는 단 하나의 사명으로 창간된 외교저널은 수교와 단교, 국제 회의, 대사관 개관, 재외공관의 일상까지 외교의 전 장면을 깊이 있게 조명해 왔다. 이제 『외교저널』은 단순한 보도를 넘어, 외교관 한 사람 한 사람의 삶과 진실을 기록하는 ‘기록의 사원祠院’으로 자리매김하며 대한민국 외교사의 산증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외교의 진심을 기록하는 언론 이존영 발행인 겸 회장은 28주년 기념사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외교관 한 사람의 땀과 진심이 잊히지 않도록 기록하는 것, 그것이 외교저널이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진실을 기록하는 일이 곧 외교를 세우는 기반이며, 우리는 그 사명을 지키고자 합니다.” 이 대표는 향후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해 외교저널의 창간호부터 최신호까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차세대 외교 인재를 위한 교육·학술 자원으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대한민국 외교 30년, 기억과 통찰』 창간 28주년을 기념해 외교저널은 특별기획 시리즈 『대
K-민화 이성준 기자 | 지난 23일 서울 주한 에콰도르 대사관에서 따뜻한 문화 교류의 장면이 펼쳐졌다. 이미형 명지대학교 k-민화 학과 교수은 빠트리시오 에스테반 트로야 수아레스(Patricio Esteban Troya Suárez) 주한 에콰도르 대사에게 한국 전통 민속화인 ‘K-민화’를 정성스럽게 담은 작품을 선물로 증정했다. 이날 전달된 K-민화, k-Folk Painting 는 한국의 전통적인 미의식과 민중의 삶이 담긴 예술로, 세계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는 한국 문화 자산 중 하나다. 이미형 문화부장은 “한국 민화의 따뜻하고 포용적인 정신이 에콰도르와의 우호 증진에 작은 다리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에 화답해 트로야 수아레스 대사는 에콰도르 전통 수공예품인 나무 인형을 감사의 표시로 선물했다. 이 인형은 에콰도르의 토속 문화와 민속 예술의 정수를 담고 있어, 상호 문화 존중과 우정의 상징으로 의미를 더했다. 이번 선물 교환은 단순한 의례를 넘어 양국 간 문화적 유대감을 확인하는 뜻깊은 순간이었다. 트로야 대사는 “K-민화의 생동감과 정감 어린 표현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에콰도르에서도 이처럼 민속 예술이 살아 숨쉬고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문
K-민화 이정하 기자 | Folk painting Sibjangsaeng is one of the traditional folk arts of Korea, and refers to works inspired by the Korean class system of Sibjangsaeng. Folk painting Sibjangsaeng are paintings by folk painters, mostly activ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t satirize various aspects of the Sibjangsaeng caste system and express them through rich imagination. Sibjangsaeng represented a wide range of classes, from nobles to peasants, merchants, servants, gamblers, virgins, crosses, and commoners. They were often depicted in the form of a single family or several Sibjangsaeng together in a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