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민화 이존영 기자 | 한국 전통 공예의 정수와 신화적 이야기가 어우러진 대작, ‘요지연도瑤池宴圖’는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채화칠장 청목 김환경 선생의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작품은 한국의 전통 옻칠 기법을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으로, 선계仙界의 풍경과 선녀들의 연회를 생동감 넘치게 재현하며 보는 이들에게 신비로운 감동을 선사한다. 작품의 배경과 역사적 맥락 ‘요지연瑤池宴’은 중국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연회로, 서왕모西王母가 옥황상제玉皇上帝와 함께 신선들에게 베푸는 호화로운 잔치를 의미한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18세기 조선 시대의 작품을 청목 김환경 선생이 ‘요지연도’ 원작을 그대로 모사한 것이다. 하지만 청목 선생의 작품은 단순히 원작을 모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통 옻칠 공예를 접목하여 현대적인 해석을 더함으로써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창출했다. 청목 김환경 선생의 옻칠 예술 김환경 선생은 채화칠장으로서 전통 옻칠 기법을 계승하며 이를 독창적인 예술로 승화시켜 왔다. 옻칠은 수천 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 고유의 공예 기술로, 천연 옻나무 수액을 활용해 작품의 내구성과 미적 감각을 극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선생의 ‘요
K-민화 이존영 기자 | Diplomatic Journal, November, JPG, 외교저널 11월호 JPG 전체보기
K-민화 이성준 기자 | K-민화, 명지에서 세계화를 위한 첫걸음
K-민화 김학영 기자 | 지난 11월 20일부터 12월 1일까지, 명지대학교 MCC관 1층에서 열린 ‘K-민화 특별전’이 성공적으로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는 100여 점의 작품이 전시되었으며, 학교 구성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로부터도 큰 호응을 얻어 전시 연장 요청이 이어지는 등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K-민화, 한류와 전통의 만남 ‘K-민화’는 한국 전통 민화에 현대적 감각을 더해 글로벌 브랜드로 확장하려는 새로운 시도를 담고 있다. ‘K-’라는 접두사는 이미 한류의 상징으로 자리 잡아 K-팝, K-드라마 등과 함께 국제적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민화의 전통적 상징성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된 작품들이 전시되었으며, 민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지역과 대학이 함께 만든 문화 축제 명지대 MCC 전시관에서 열린 이번 전시는 단순한 작품 전시를 넘어 지역과 대학이 함께 만들어낸 문화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들은 민화의 화려한 색감과 상징성을 체험하며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새로운 미적 경험을 즐겼다. 특히, 대학생과 지역 주민들이 민화를 통해 한국의 전통 문화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K-민화 김학영 기자 | K-민화, 명지에서 그 시작을 알리다.”에 대한 이미형 교수의 시 한지 위에 춤추는 나비들, "이게 뭐야?" 외국인이 묻네. "우리의 전통, 민화랍니다!" "오, So Beautiful!" 감탄하네. 호랑이는 으르렁, 하지만 친근하게, 까치와 수다 떨다 우주로 날아가네. 용은 구름 타고 뉴욕을 지나고, 달마는 미소로 파리를 물들인다네. 꽃들은 각 나라의 국기를 걸치고, 물고기는 대서양을 유영하네. 우리 집 대문 그림이 어느새 세계인의 거실을 밝히고 있다네. K-민화, 그 비밀은 뭘까? 옛것이 새롭고, 간단하지만 깊다네. 전통이 현대를 만나 춤을 추고, 한 폭의 그림으로 세계를 품는다네. 오, 한국의 K-민화여! 지금, 넌 전 세계의 스타야! K-민화 연구소장, (재) K-문화진흥재단, 명지대 교수 이미형 쓰다.
K-민화 김학영 기자 | 한국 전통 민화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K-민화 프로젝트가 명지대학교에서 시작되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 주제는 “K-민화, 명지에서 그 시작을 알리다.”는 한국의 민화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글로벌 문화 콘텐츠로 자리매김하려는 야심 찬 시도로, 전통과 혁신이 어우러진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선보이고 있다. K-민화, 한국 전통 민화의 세계화 프로젝트 명지는 한국 민화 예술의 깊은 뿌리를 자랑하는 지역으로, 오랜 전통과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명지대학교는 민화의 예술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현대적 시각에서 재해석하여 세계 무대로 확장하려는 K-민화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명지 지역의 예술가들과 연구자들이 협력하여 민화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고, 이를 디지털 기술과 접목한 참신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특히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등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전시 및 체험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민화를 감상하고 즐길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민화는 전통적인 예술 형식을 넘어 현대와 조화를 이루며 국내외 관객들에게 더욱 가까
K-민화 이성준 기자 | 청룡도는 전통적으로 동쪽을 상징하며 생명의 시작과 성장, 새로운 탄생을 의미하는 청룡靑龍을 표현한 그림이다. 동양 철학과 오행五行 사상에서는 동쪽이 나무木의 방향으로, 봄을 나타내며 생명력이 넘치는 계절과 연결된다. 청룡은 봄에 나타나는 동물로, 바람을 다스리고 자연의 에너지를 조화롭게 유지하는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청룡도는 쌍각雙角과 긴 혀를 내밀고 있는 청룡이 구름과 인동당초무늬忍冬唐草紋 위를 나는 형상으로 그려져, 역동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장면을 연출한다. 구름은 하늘과 연결되어 하늘의 기운을, 인동당초무늬는 생명력과 무한한 번영을 의미하는 상징으로, 청룡의 힘과 조화를 더해 준다. 이는 청룡의 존재가 단순한 신화적 상징이 아닌, 자연의 조화와 생명력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작품은 크기 100호로 제작되었으며, 삼베 바탕에 생옻칠을 입힌 후 색칠(채칠)로 청룡을 화려하고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삼베와 생옻칠은 한국 전통 소재로, 삼베의 거친 질감과 생옻칠의 깊고 은은한 광택이 청룡의 신비로운 기운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채칠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색채를 겹겹이 쌓아 올려 색의 깊이감을 나타내며,
K-민화 이성준 기자 | K-민화 초충도草蟲圖 이야기는 전통적으로 풀과 곤충을 그린 한국 민화의 한 장르로, 작은 생명체들을 생동감 있게 표현해 자연의 조화와 아름다움을 담아내는 것이 특징이 있다. 담화의 이야기는 이를 현대적으로 풀어 K-민화로 해석한다면,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이야기가 될 수 있다. 잃어버린 한지의 전설 오래전, 한국의 깊은 숲속 마을에는 특별한 한지韓紙가 있었다. 이 한지는 숲속의 풀과 벌레, 작은 생명체들이 가진 에너지를 담아낸 것으로, 보는 이에게 평화와 행복을 준다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었다. 그러나 어느 날, 이 귀한 한지가 사라져 마을 사람들은 큰 슬픔에 빠졌다. 이때, 초충도의 주인공인 풀벌레들이 숲속에서 그 소식을 듣게 된다. 작은 개미, 나비, 여치, 잠자리, 그리고 소나무 벌레까지 모두 모여 한지를 찾기로 결심했다. 각자 가진 힘은 미약했지만, 그들은 함께 힘을 합치면 가능하리라 믿었다. 한지 찾기 대작전 풀벌레들은 저마다의 능력을 발휘해 단서를 찾아 나섰다. 개미는 땅속을 파며 오래된 흔적을 찾고, 잠자리는 하늘을 날아 멀리까지 살펴보고, 나비는 향기를 따라 단서가 될 만한 꽃과 풀을 찾는다. 풀벌레들이 힘을 모아 찾아낸
K-민화 김학영 기자 | 한국 전통 민화는 오랜 세월 동안 서민들의 희망과 염원을 담아내며 한국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예술이다. 과거 민화의 고풍스러운 색채와 구도는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으나, 오늘날 민화는 단순한 전통 보존을 넘어 현대적 해석을 통해 세계에 알리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명지대학교 미래교육원의 K-민화 과정 이미형 교수는 지난 2015년부터 명지대학교 미래교육원은 ‘K-민화’ 과정을 운영해 전통 민화의 철학과 미학을 바탕으로 현대적 감각과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접근법을 시도하고 있다. 이 과정은 한국 전통 민화의 기초부터 고급 기술까지 아우르며, 입체적이고 강렬한 표현을 담아내어 전통과 현대가 융합된 독창적인 예술 작품을 창출해 오고 있다. K-민화의 국제적 데뷔와 인정 이 교수는, 지난 7월, K-민화는 한국-벨라루스 수교 32주년을 기념하는 문화교류 행사에서 벨라루스 예술가 마르크 샤갈의 작품과 함께 전시되었다. 이는 한국 민화의 독창성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기회였으며, 한국의 민화 작가 35명이 참여해 그 매력을 해외에 선보였다. 또한 10월에는 「2024 한류스타문화예술대상」 시상식에서 ‘K-민화 최우수 작가상’이 수
K-민화 이존영 기자 | 한국의 전통 민화는 조선 시대 서민들이 일상에서 꿈꾸던 세계와 행복을 색채 넘치는 그림으로 표현한 예술 양식이다. 민화는 개인의 바람과 집단의 염원을 자유롭게 담아내며 정교한 규칙에서 벗어난 독특한 예술 세계를 펼쳤다. 하지만 전통 예술의 틀을 넘어, 민화는 오늘날 K-문화의 일부로써 다시금 재해석되고 있으며, 현대의 시각 예술과 결합되어 글로벌 시장으로의 발돋움을 모색하고 있다. 민화의 시작과 서민의 예술 민화는 조선 후기, 주로 서민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한 예술 장르로, 민속 신앙과 풍속을 담은 상징적 요소가 다채롭게 표현되어있다. 용맹함과 영생을 상징하는 호랑이와 용, 부귀영화를 기원하는 모란꽃, 그리고 행운을 기원하는 십장생 등은 민화의 대표적인 소재였다. 당시에 귀족이나 양반층이 아닌 평범한 사람들이 민화를 통해 자신들의 소망을 그려낸 것이기 때문에, 민화에는 당대 서민의 감성과 삶이 그대로 담겨 있다. K-민화의 진화, 전통에서 현대, 그리고 세계로 최근 들어 한국의 전통 문화를 재해석하려는 시도가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K-팝, K-드라마와 같은 대중문화의 성공에 이어 K-민화도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허물며 글